작성자 : 라키스 | 작성일 : 2021-09-27 11:12:04 | 조회수 : 1,582 |
관련링크 : http://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23 | ||
■ 책을 말하다_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의 정치성: 이론과 비교를 통한 접근』
(올리비에 다베뉴 지음, 이태혁 옮김, 한울, 368쪽, 2021.07) 역내 단위 지역통합에 대해 설명력을 가진 기존의 학문적 접근이 라틴아메리카 지역에도 적합한가? 적합하지 않다면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에 대한 접근은 무엇이, 어떻게 그리고 왜 기존의 접근과 다르거나 달라야 하는가? 열쇠는 유럽이다. ‘라틴아메리카’라는 지역 명(名) 그리고 지역 명(命)이 유럽 서구 중심 문명권에 의해 발현되었다. 서구중심주의 사조에 따르면 라틴아메리카가 ‘드디어’ 역사에 등장한 것이다. 하지만, 그곳엔 유럽의 ‘것’보다 더 발전된 문명이 이미 있었다. 아스텍, 마야, 잉카 등.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의 정치성」은 라틴아메리카 역사서가 아니다. 반유럽주의 또는 ‘라틴아메리카 하위 주체성과 재현’이라는 라틴아메리카 주체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일련의 도서는 더욱 아니다. 라틴아메리카가 역설과 모순으로 점철된 대륙이듯이, 본서 역시 역설과 모순이 오롯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선과 접근이 본서의 특징이다. 먼저 저자가 유럽인이다. 프랑스 파리정치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인 저자 올리비에 다베뉴(Olivier Dabene)는 실상 유럽 지역통합 연구에도 정통한 학자이다. 다베뉴는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은 불확실성(uncertainty)과 불확정성(indeterminacy)이 특성이자 ‘본 게임’이라고 진단하며 동시에 역설적으로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의 ‘긴’ 역사에 대한 ‘다른’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다시 말해 유럽통합의 관점에서 본다면, 라틴아메리카의 지역통합과 지역주의regionalism는 불안정하며 실패의 역사이다. 그러나 의심의 여지없이, 라틴아메리카는 제2차 세계대전 이래 지속된 근현대 지역통합의 긴 역사를 품고 있는 다른 대륙인 것이다. 1948년 이미 중미 국가들은 중미 고등교육의회(Central American Council of Higher Education, CSUCA)의 창설로 고등교육 영역에 대한 기능적 협력을 이행했다. 그 이후 1951년에는 중미국가들이 중미기구(Organization of Central American States, ODECA)를 출범시켜 다자조약 협정 체결로 이행되었다. 그리고 중미 지역은 적어도 25차례 역내 재결합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은 난장(亂場)의 특성을 지니며, 21세기 현재에도 우리는 역내 다양한 층위의 지역통합의 부침(ups and downs)을 목도할 수 있다. 실상 라틴아메리카 통합의 역사를 되짚어 본다면, 19세기 초 라틴아메리카의 독립 쟁취 이래로 시몬 볼리바르(Simon Bolivar)를 위시로 한 라틴아메리카 통합의 이미지는 지속적으로 재현되어 온 것이다. 이와 같은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의 일련의 부침 사이클은 통합 관련 이론화 및 전망을 난해하게 한다. 즉 ‘불안정 속에서의 지속성, 위기 가운데에서의 탄력성’이 라틴아메리카 통합 관련 특성으로 기존의 지역통합 접근으로는 설명하기 힘들다. 따라서 역내 통합에 대한 라틴아메리카적 질문은 ‘어떻게 그리고 왜 국가들이 주권을 양보하느냐’에 대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그리고 왜 온전한 주권을 양보하지 않으면서도 통합과정을 지속화 하느냐’에 있다. 대안적 접근과 사유가 요구되는 지점이다.
|
이전글 | 11th FEALAC Cyber Secretariat Workshop |
---|---|
다음글 | 제2차 HK(+) 연합학술대회 개최 "동과 서 문화와 문명 만남의 오백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국적 협력과 소통" |